족구(足球, Jokgu) 용어와 규칙 기술용어
족구(足球, Jokgu) 용어와 규칙 기술용어
족구의 용어, 규칙, 기술 용어는 경기 중 상황과 포지션, 세부적인 기술 동작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됩니다.대한민국에서 개발된 발로 하는 배구처럼 볼을 네트로 넘기는 경기입니다.
족구(足球, Jokgu)는 규정된 족구공을 사용하여 각 팀 4명 즉 공수 총 8명으로 우수비, 좌수비, 세터, 공격수가 네트 경계를 사이에 두고, 무릅 미만의 발과 머리 미만, 턱 이상을 사용 하여 수비와 공격을 주고 받는 스포츠 입니다.대한민국이 종주국인 구기종목 경기입니다.
비슷한 스포츠로 중앙유럽에서 1920년대에 생겨난 풋볼테니스(football tennis)와 남아시아의 말레이시아에서 유래한 세팍타크로(sepaktakraw) 등이 있다.
경기 규칙 및 용어
서브 👉 경기를 시작하는 동작으로, 서브 제한 구역에서 공을 차 상대편 코트로 넘기는 것.직접 공격 득점👉 상대편으로부터 넘어온 공을 바운드 없이 직접 공격해 득점하는 것.
득점👉 상대 팀이 반칙하거나 공이 상대 코트 밖으로 나갔을 때, 또는 바운드 없이 공격을 성공시켰을 때 점수를 얻는 것.
실점👉 공이 코트 밖으로 떨어지거나, 세 번의 터치 안에 공을 넘기지 못하거나, 머리와 무릎 밑 이외의 신체 부위에 공이 닿는 등 반칙으로 인해 점수를 잃는 것.
바디터치👉 머리와 무릎 아래의 다리 부분을 제외한 신체 부위에 공이 닿는 반칙.
네트터치👉 경기도중 선수의 신체나 옷이 네트에 접촉하는 반칙.
오버네트👉 네트 상단으로 손이 넘어가는 반칙.
투 바운드👉 공이 바닥에 연속으로 두 번 이상 닿는 반칙.
포지션 및 역할
킬러 (Killer) 👉공격을 담당하는 선수.세터 (Setter)👉 공을 공격수에게 올려주는 토스맨.
우수비, 좌수비👉 각각 코트의 우측과 좌측을 담당하는 수비수.
기술 용어
서브 기술안축차기 서브👉 발의 안쪽(안축) 부위로 공의 밑면을 깎아 차서 역회전을 주는 서브.
발등차기 서브👉 발등 부위로 공을 차 회전을 주어 넘기는 서브.
회전 서브👉 공에 회전을 주어 리시브를 어렵게 만드는 서브.
공격 기술
꺾어차기 (스파이크)👉 공을 상대편 코트에 강하게 내리꽂아 공격하는 기술.발등 후려차기👉 발등을 이용해 강한 스윙으로 공을 차는 족구의 기본 공격 기술.
연타 (Short Attack)👉 상대방 코트의 빈 공간에 공을 짧게 떨어뜨리는 공격 기술.
A각, B각, C각 공격 방향을 일컫는 용어로, A각은 사이드라인, B각은 중간, C각은 중앙을 의미.
시저스 스파이크👉 가위처럼 다리를 교차하며 공을 차는 공격 기술.
시저스 스파이크👉 가위처럼 다리를 교차하며 공을 차는 공격 기술.
수비 기술
리시브 (Receive)👉 상대의 서브나 공격을 받아 세터에게 공을 전달하는 기술.머리받기 (Head Receive)👉상대의 높거나 바운드 큰 공을 이마와 정수리 부근으로 받아내는 기술.
블로킹 (Blocking)👉상대 공격을 방해하고 차단하는 적극적인 수비 형태.
AI 대답에는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. 자세히 알아보기
족의 심판 용어
족구 경기 중 심판이 사용하는 주요 용어(구두 신호 및 시그널)는 다음과 같습니다. 심판은 휘슬과 함께 정해진 수신호를 사용해 선수들과 관중에게 판정 내용을 명확하게 전달합니다.족구 심판 용어 및 신호
인 (In)➡ 공이 코트 안에 정상적으로 떨어진 경우. 선심은 깃발을 내리거나 주심에게 손짓으로 알린다.아웃 (Out)➡ 공이 코트 밖으로 나가거나 라인에 닿지 않은 경우. 선심은 깃발을 들어 표시한다.
폴트 (Fault) ➡ 서브나 경기 중 반칙이 발생했을 때 선언하는 용어.
경기 시작 / 인 플레이 (In Play)➡ 주심의 최초 휘슬과 함께 경기가 시작되거나 재개될 때 선언한다.
데드볼 (Dead Ball)➡경기 중단 상황을 알리는 신호. 점수 득실과 관계없이 플레이가 멈췄을 때 사용한다.
오버 터치 (Over Touch)➡ 한 팀의 터치 횟수(3회)를 초과하여 공을 넘겼을 때 발생하는 반칙.
바디 터치 (Body Touch)➡ 머리(턱 위)와 무릎 아래 부분을 제외한 신체 부위에 공이 닿는 반칙.
네트 터치 (Net Touch)➡ 경기 중 선수 신체의 일부가 네트에 닿는 반칙.
오버 네트 (Over Net)➡ 공격 시 손이나 신체가 네트 상단을 넘어 상대방 코트로 들어가는 반칙.
투 바운드 (Two Bounce)➡ 공이 코트에 두 번 연속으로 닿는 반칙.
5초 경과 (5sec-delay)➡ 서브 시 주심의 신호 후 5초 이내에 서브를 하지 않았을 때 선언하는 반칙.
타임 아웃 (Time Out)➡ 각 팀이 작전 타임을 요청했을 때 경기를 일시 중단하는 것.
선수 교체 (Substitution)➡ 후보 선수와 주전 선수를 교대할 때 심판의 허가를 받아 진행하는 절차.
경기 종료 (Set Out, Game Out)➡ 한 세트 또는 경기가 종료되었음을 알리는 선언.
옐로 카드 (Yellow Card)➡ 선수나 감독의 경고성 반칙 또는 비신사적 행위에 대해 주어지는 징계.
레드 카드 (Red Card)➡ 심각한 반칙이나 비신사적 행위 시 선수 또는 팀에 퇴장을 명령할 때 사용.
족구의 경기 규칙
족구는 네트를 사이에 두고 발과 머리를 사용해 공을 주고받는 경기로, 네 명의 선수가 한 팀을 이룹니다. 경기는 서브로 시작되며, 상대 코트로 공을 넘기는 과정에서 특정 규칙을 따라야 합니다.
족구 코트 및 용구코트: 가로 15m, 세로 6.5m의 직사각형이며, 네트를 기준으로 양 팀이 7.5m씩 사용합니다.
네트: 높이는 일반부 기준 지면으로부터 1.05m입니다. 여성부, 시니어(60대 이상), 초·중·고등부는 90cm입니다.
공인구: 지름 200~205mm 크기의 족구공을 사용하며, 공의 공인 여부는 대한민국족구협회의 심의를 거칩니다.
경기 방식서브:
경기 방식서브:
⭕주심의 휘슬 후 5초 이내에 상대편 코트로 공을 넘겨야 한다.
⭕서브는 무릎 아래 부분으로 해야 합니다.
⭕서브는 노바운드(공이 땅에 닿지 않게)로 해야 합니다.
⭕서브는 서브 제한 구역(엔드라인 뒤 3m) 내에서 해야 합니다.
⭕서브는 서브 제한 구역(엔드라인 뒤 3m) 내에서 해야 합니다.
플레이:
⭕한 팀은 최대 3번의 터치로 공을 넘겨야 합니다.
⭕한 선수는 공을 연속으로 두 번 터치할 수 없습니다.
⭕터치는 머리(턱 위)와 무릎 아래의 다리 부분만 허용됩니다.
⭕한 선수는 공을 연속으로 두 번 터치할 수 없습니다.
⭕터치는 머리(턱 위)와 무릎 아래의 다리 부분만 허용됩니다.
득점:
⭕서브 득점 시 2점, 일반 득점 시 1점을 획득합니다.
⭕상대 팀의 반칙으로 인해 득점할 수 있습니다.
⭕세트:보통 15점 랠리포인트제로 진행되며, 듀스 시 2점을 먼저 획득하는 팀이 승리합니다. 단, 상한 점수는 19점입니다.
⭕최종 세트(3세트 등)는 8점을 먼저 득점한 팀이 코트를 교체합니다.
주요 반칙바디 터치:
⭕상대 팀의 반칙으로 인해 득점할 수 있습니다.
⭕세트:보통 15점 랠리포인트제로 진행되며, 듀스 시 2점을 먼저 획득하는 팀이 승리합니다. 단, 상한 점수는 19점입니다.
⭕최종 세트(3세트 등)는 8점을 먼저 득점한 팀이 코트를 교체합니다.
주요 반칙바디 터치:
⭕머리(턱 위)와 무릎 아래 부분을 제외한 신체 부위에 공이 닿는 경우.
⭕네트 터치: 선수의 신체가 네트에 닿는 경우.
⭕오버 네트: 네트 위로 손이 넘어와 상대편의 플레이를 방해하는 경우.
⭕투 바운드: 공이 코트 바닥에 연속으로 두 번 이상 닿는 경우.
⭕오버 터치: 한 팀이 공을 세 번 초과하여 터치하는 경우.
⭕인사이드 아웃: 발이 네트 위로 넘어가는 반칙은 아니지만, 신발이 상대 코트로 넘어간
⭕네트 터치: 선수의 신체가 네트에 닿는 경우.
⭕오버 네트: 네트 위로 손이 넘어와 상대편의 플레이를 방해하는 경우.
⭕투 바운드: 공이 코트 바닥에 연속으로 두 번 이상 닿는 경우.
⭕오버 터치: 한 팀이 공을 세 번 초과하여 터치하는 경우.
⭕인사이드 아웃: 발이 네트 위로 넘어가는 반칙은 아니지만, 신발이 상대 코트로 넘어간
경우.
대한족구협회는 1990년 2월 발기인을 시작으로, 같은 해 4월에, 초대회장(박이성)이 취임하면서 정식으로 발족 했습니다.
현재 각 시,도 및 해외에도 협회(산하)조직이 구성되어 있습니다.
주소(우)05540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424, 올림픽회관 신관 2층 211호
#족구용어 #족구규칙 #족구심판용어 #족구공격용어 #족구수비용어 # 족구규칙

댓글
댓글 쓰기